본문 바로가기

데이터베이스6

오답 풀이 5 - 정처기 데이터베이스 구축2 정보처리기사 데이터베이스 SQL 응용, 활용, 데이터 전환 파트의 오답 풀이입니다. 더보기 정답 : 관계가 설정되지 않은 두 테이블은 조인을 수행할 수 없다. 관계가 설정도지 않아도 두 테이블은 조인을 수행 가능하다. Join - 공통 속성을 중심으로 두 개의 릴레이션을 하나로 합쳐서 새로운 릴레이션을 만드는 연산 - Join 결과로 만들어진 릴레이션의 차수는 조인된 두 릴레이션의 차수를 합한 것과 같음 - Join 결과는 Cartesian Product(교차곱)를 수행한 다음 Select를 수행한 것과 같다. - 연산자의 기호는 ⋈를사용함 - 표기 형식 : R ⋈ 키속성r=키속성s S - 키 속성 r은 릴레이션 R의 속성이고, 키 속성 s는 릴레이션 S의 속성이다 더보기 정답 : 2021. 2. 23.
오답 풀이 5 - 정처기 데이터베이스 구축1 이번에는 논리 데이터베이스 설계, 물리 데이터베이스 설계 부분의 문제를 풀어보도록 하겠다. 더보기 정답 : 레코드 집중의 분석 및 설계 레코드 집중의 분석 및 설계는 물리적 설계 단계에서 수행하는 작업이다. 더보기 정답 : relation 1개, attribute 3개, tuple 5개 표 1개니까 relation도 1개, attribute는 속성이므로 세로에 해당하는 3개, tuple은 가로를 의미하므로 5개이다. - 튜플(Tuple) -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각각의 행 - 속성의 모임으로 구성됨 - 파일 구조에서 레코드와 같은 의미 - 튜플의 수를 카다널리티(Cardinality) 또는 기수, 대응수라고 함 - 속성(Attribute) -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논리적 단위 - 파일 구조상 .. 2021. 2. 16.
정처기 데이터베이스 구축 - 3.4 SQL 활용, 3.5 데이터 전환 ★★★★ 1. 프로시저(Procedure)의 개요 (= 스토어드(Stored) 프로시저) - 절차형 SQL을 활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일종의 트랜잭션 언어 - 호출을 통해 실행되어 미리 저장해 놓은 SQL 작업을 수행함 - 프로시저를 만들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면 여러 프로그램에서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음 -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수행되기 때문에 스토어드(Stored) 프로시저라고도 불림 - 시스템의 일일 마감 작업, 일괄(Batch) 작업 등에 주로 사용됨 - 프로시저의 구상도 - DECLARE : 프로시저의 명칭, 변수, 인수, 데이터 타입을 정의하는 선언부 - BDGIN / END : 프로시저의 시작과 종료를 의미함 - CONTROL : 조건문 또는 반복문이 삽입되어 순차적으로 처리됨 - S.. 2021. 2. 16.
정처기 데이터베이스 구축 - 3.3 SQL 응용 ☆★★★ 1. SQL(Structed Query Language)의 개요 - 국제 표준 데이터베이스 언어이며, 많은 회사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지원하는 언어로 채택하고 있음 - 관계대수와 관계해석을 기초로 한 혼합 데이터 언어 - 질의어 + 데이터 구조의 정의 + 데이터 조작 + 데이터 제어 기능 2. SQL의 분류 - DDL(Data Define Language, 데이터 정의어) - SCHEMA, DOMAIN, TABLE, VIEW, INDEX를 정의, 변경, 삭제할 때 사용하는 언어 - 논리적 데이터 구조와 물리적 데이터 구조의 사상을 정의함 - 데이터베이스 관리자나 데이터베이스 설계자가 사용함 - DDL(데이터 정의어)의 세 가지 유형 - CREATE : SCHEMA, DOMAIN, TABLE,.. 2021. 2. 16.
정처기 데이터베이스 구축 - 3.1 논리 데이터베이스 설계 ★★★★ 1. 데이터베이스 설계의 개념 - 사용자의 요구를 분석하여, 그것들을 컴퓨터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구조에 맞게 변형한 후 특정 DBMS로 데이터베이스를 구현하여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하게 하는 것 2. 데이터베이스 설계 시 고려사항 - 무결성 : 연산 후에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잗왼 데이터가 정해진 제약 조건을 항상 만족해야 함 - 일관성 :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들 사이나, 특정 질의에 대한 응답이 처음부터 끝까지 변함없이 일정해야 함 - 회복 : 불법적인 데이터의 노출, 변경, 손실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야 함 - 효율성 : 응답시간의 단축, 시스템의 생산성, 저장 공간의 최적화 등이 가능해야 함 - 데이터베이스 확장 : 데이터베이스 운영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추.. 2021. 2. 9.
정처기 소프트웨어 개발 - 2.1 데이터 입·출력 구현 ★★★★ (1) 자료 구조의 정의 - 저장 공간의 효율성, 실행 시간의 신속성 고려 - 프로그램에서 사용하기 위한 자료를 기억장치 공간 내에 저장하는 방법, 저장된 그룹 내에 존재하는 자료간으 관계, 처리방법 등을 연구 분석 - 자료의 표현과 그것과 관련된 연산 - 일련의 자료들을 조직하고 구조화하는 것 - 어떠한 자료구조에서도 필요한 모든 연산들을 처리할 수 있음 - 자료구조에 따라 프로그램 실행시간이 달라짐 (2) 자료 구조의 분류 - 선형 구조(Linear Structure) - 배열(Array) - 선형 리스트(Linear List) - 연속 리스트(Contiguous List) - 연결 리스트(Linked List) - 스택(Stack) - 큐(Queue) - 데크(Deque) - 비선형 구조(.. 2021. 1. 25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