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s 명령어 : 전체 목록 보여줌
Ls –al : 디렉토리와 파일 구분하여 출력
Ls –a : 숨겨진 파일 찾아보기
Pwd : 현재 경로 출력
Cd .. : 한 단계 위로 이동
Cd / : 최상위 디렉토리로 이동
Exit : 빠져나가기
Mkdir : 디렉토리 만들기
Rmdir : 디렉토리 삭제
Cp 복사원본 복사사본
Rm : 파일 삭제
Mv 복사원본 복사사본
W : 정보분석
Finger –l : 사용자들의 많은 정보 확인
Tty : 자신의 터미널 확인 방법
Ifconfig : 현재 접속한 서버의 ip 보는 방법
Write guest /dev/pts/번호 : 특정 사용자에게 메시지 보내기
Wall test : 모두에게 쪽지 보내기
bin : 가장 필수적인 리눅스 실행파일 들어감. ls, rm 포함
boot : 리눅스 부팅 관련 파일들, 커널 들어감
dev : 컴퓨터에 설치된 하드웨어 관한 정보들 파일 형태로 저장되어있음
etc : 많은 중요한 파일들 들어가 있음. 패스워드 파일, 쉐도우 파일, 대부분의 리눅스 설정 파일..
home : 일반 사용자들의 디렉토리가 들어가는 곳.
lib : 많은 라이브러리 파일들이 들어감
mnt : mount 명령을 사용하여, 마운트 시킨 시디롬, 프롤피 디스켓 등이 들어가는 디렉토리
proc : 프로세스들이 파일 형태로 저장되는 디렉토리
root : 루트의 홈 디렉토리는 이곳에 저장됨
cf. 일반 사용자의 디렉토리는 /home 아래에 존재함
sbin : 기본 명령을 제외한 시스템 관리용 실행 파일들이 들어있는 디렉토리
tmp : 임시로 파일을 저장하는 디레고리. 권한에 상과없이 누구나 이 디렉토리에 파일 생성 가능
usr :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이 설치되어 있는 곳
/etc/passwd : 사용자들에 대한 간단한 정보가 들어감
/etc/shadow : 사용자들의 패스워드가 들어가 있음. 아무나 보지 못하도록 설정됨
/etc/services : 서버가 어떤 서비스를 하는중인지 보여줌
/etc/issue.net : 처음에 접속될 때 나오는 화면
/etc/motd : 로그인 후에 나오는 메시지가 들어감
~/public_html : 각 사용자들의 홈페이지 파일이 들어가 있음.
보통 해킹에 성공하면 이 파일을 수정하여 hacked by xxx 라는 문구를 남김
Whoami : 자신의 정보 수집
Id : 자신의 정보 수집
Cat /etc/passwd : 어떤 사람이 계정을 얻어서 사용하는지
Uname –a : 커널 버전 확인
Cat /etc/*release : 서버에 설치된 OS 버전확인
Rpm –qa : 패키지에 관한 정보 얻는 방법
Cat /proc/cpuinfo : cpu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
'security > 시스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ackerschool ftz level 1 (0) | 2021.01.17 |
---|---|
시스템 리눅스 용어 정리 2 (0) | 2021.01.12 |
Protostar - Heap 0 (0) | 2020.11.08 |
Protostar - Fromat 4 (0) | 2020.11.05 |
Protostar - Format 3 (0) | 2020.11.05 |
댓글